• [칼럼] 노쇠정책 관련 3번째 이야기- 싱가포르 국가 노쇠전략에서 배울 점
  • 싱가포르는 짧은 기간 안에 고도 경제성장을 이룬 국가다. 하지만 급격한 발전의 이면에는 고령화라는 도전이 자리하고 있다. 2024년 기준 싱가포르의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19.9%로, 2030년에는 4명 중 1명이 고령자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역시 비슷한 시기에 25%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되며, 양국은 경제발전과 동시에 고령 사회를 맞이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싱가포르 정부는 이 문제를 국가 차원에서 다루기 위해 ‘국가 노쇠 전략(National Frailty Strategy)’을 수립하였다. 보건부(MOH)는 2021년 Frailty Policy Report를 통해 노쇠를 조기 선별하고, 예방·중재 프로그램을 강화하며, 데이터 기반으로 모니터링하겠다는 종합 전략을 제시했다. 이는 단순히 의료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지역·공공 정책 전반을 아우르는 접근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실제 프로그램 사례도 눈여겨볼 만하다. 첫째, NHG Polyclinics frailty program은 2022년부터 파일럿으로 시작되어, 노쇠 위험군을 선별하고 중재 프로그램으로 연결한 뒤 12개월 추적을 수행하였다. 일부 지표에서 개선이 확인되었고, 2025년 말까지는 중앙지역의 모든 NHG polyclinic*으로 확대될 예정이라고 한다. 둘째, Geriatric Service Hub(GSH)는 병원 기반 다학제팀이 지역사회까지 나아가 선별과 개입을 수행하는 모델이다. 이는 병원–커뮤니티–자원봉사 영역을 연결하는 허브 역할을 한다. 셋째, NHG 연례 활동(Living With Frailty)에서는 노쇠 위험군을 위한 프로그램과 앱 기반 평가 기능이 도입되며,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관리가 병행되고 있다.

    *“Polyclinic은 한국의 보건소와 유사한 공공 일차의료기관이지만, 의사 진료와 약 처방이 가능한 의원 기능이 포함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전략의 강점은 분명하다. 첫째, 예방 중심의 선제적 접근으로, 노쇠를 조기 발견해 지연·완화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보건–사회 통합을 강조하여 병원과 지역사회, 공공서비스가 하나의 경로로 연결된다. 셋째, 데이터 기반 정책으로 frailty registry를 구축하여 정책의 효과를 측정하고 조정한다.

    한국에도 시사점이 크다. 현재 우리는 노쇠 관리가 일부 연구나 시범사업에 머물러 있다. 그러나 돌봄지원법과 연계해, 지역 단위에서 의료 기관과 돌봄지원 기관을 중심으로 싱가포르식 모델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병원 기반 다학제 팀이 지역 거점 허브(post)와 연결되는 구조는 그대로 참고할 만하다. 이때 허브 역할은 보건소, 동사무소, 또는 지역사회 건강 센터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싱가포르의 GSH는 병원에서 의료진이 직접 커뮤니티로 나가고, 자원봉사자를 활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된다(이는 내가 the 9th Asian Conference for Frailty and Sarcopenia (ACFS 2023)참석 시 NUH(National University Hospital, 국립대학교병원)와 AIC(Agency for Integrated Care, 통합돌봄청) 기관 방문을 통해 직접 확인한 내용에 근거한다. 참고로 싱가포르의 AIC에 대한 공식 한국어 명칭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므로, 본 칼럼에서는 저자가 ‘통합돌봄청’으로 번역하였다).

    결국, 경제발전과 함께 다가온 고령 사회의 도전에 대응하는 방법은 명확하다. 노쇠를 국가 정책의제로 격상하고, 병원과 지역사회를 잇는 허브 모델을 기반으로 한 통합 전략을 추진하는 것이다. 싱가포르의 경험은 한국이 나아가야 할 길을 잘 보여준다.

    ※ 다음은 국내의 노인건강검진에 대해 다룰 예정입니다. 기대해주세요~

    #싱가포르 #NHS #AIC #GHS #통합돌봄청 #국가노쇠전략 #통합돌봄지원법 #고령화 #보건부 #MOH #frailty #policy #geriatric #National Frailty Strategy

    참고문헌

    1. Ministry of Health Singapore. (2021). Frailty Strategy Policy Report. Ministry of Health. https://www.moh.gov.sg/others/resources-and-statistics/reports-frailty-strategy-policy-report

    2. Wee, S. L., & Cheah, J. (2023). Community-based frailty management in Singapore: The Geriatric Service Hub experience. BMC Geriatrics, 23(1), Article 11077. https://doi.org/10.1186/s12877-020-01800-8

    싱가포르의 노쇠 단계별 서비스 연계 현황(Frailty Landscape Map)

    Source:Ministry of Health, Singapore (2023). Available from: https://www.moh.gov.sg

    김희선 부연구위원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글쓴날 : [25-10-02 10:01]
    • 정선영 기자[annsy0318@naver.com]
    • 다른기사보기 정선영 기자의 다른기사보기